본문 바로가기

번역어 및 유의사항 !

(2)
김상득 역본(아카넷, 2018) 비교사항 20절 / 86p 김상득 역: 한편으로 이러한 용어들이 내가 제안한 용법에 아주 적합한 이유는, 지금까지 규명된 부분과 전체의 특수한 관계는, 이러한 용어들이 실제로 아주 빈번하게 적용되는 전체들을 구별해주는 여러 특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 그렇지만 이 용어들이 내가 제안하는 용법에 적합한 까닭은, 부분과 전체 사이의 특유한 관계란, 앞서 규정한대로, 이 용어들이 아주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전체’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 해당 맥락에서는 선한 것과 선함 이라는 특성, 부분과 전체라는 두 가지 사물과, 그러한 사물 자체로 환원되지 않고 그 사이에서 맺어지는 관계를 구분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선한 것으로 이해되는 전체'들'을 구분한다는 말은, 20절의 전후로 전혀 연결되는 ..
번역어 및 예외사항 * Good / Bad : 이 단어를 '선/악'이라는 윤리(도덕)적 맥락이 이미 포함된 단어로 옮긴다면, 본문에서 "도덕적으로 선한morally good"이란 표현은 무의미한 동어반복이 되며, "맛이 선하다"거나 "선한 물건"이라는 등의 표현도 일상적 용법으로 단순 인용이 불가능하며 분석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good과 bad가 그 자체로는 가장 형식적인 수준에서 긍정과 부정을 표하는 단어이며 이것이 특정한 내용의 맥락 안에서 표현될 때 더 좁고 결정적인 단어로 치환이 가능할 뿐이다. 한국어에서 이에 해당하는 말은 '좋다/나쁘다'라고 이해했다. * Intrinsic / Extrinsic : Intrinsic은 한국어 문맥에 따라 “본질적” 혹은 “내재적”으로 달리 옮겼다. 내재/외재라는 공간적 비..